상단
에버메디예약
대표전화
top

부인과클리닉

  • 진료시간
  • 평일 오전 9:00 - 오후 6:00
    토요일 오전 9:00 - 오후 4:00
    일·공휴일 오전 9:00 - 오후 4:00
    점심식사 오후 1:00 - 오후 2:00
  • 온라인 예약,
    전화 예약 가능(산부인과)

    접수가 조기마감 될 수 있습니다.

질염

질염이란?

정상적인 질 분비물은 부드러운 솜 모양, 색깔은 흰색이나 약간 노란색을 띠며, 냄새는 시큼한 식초냄새가 납니다.

주로 질 후벽쪽에 고여 있습니다. 질분비물은 외음부와 질의 피지선, 땀샘, 분비선에서 나오는 분비물,

질과 자궁경부의 탈락세포, 자궁경부 뮤신, 질내 미생물과 그 대사산물들이 모두 포함된 것으로 월경주기나 호르몬 분비 상태에 따라

변화하며 분비물은 배란기 근처에 가장 많아집니다.

질염의 증상

냉(냉대하)이 팬티에 젖을 정도로 많은 경우, 분비물의 색이 진하거나 끈적이며 흐르고 비린내 같은 악취가 나는 경우는

산부인과를 방문하여야 합니다. 질염에 걸리면 질입구의 가려움, 화끈거림, 성관계시 통증, 소변시 쓰라림 등을 동반합니다.

질염의 예방을 위한 생활 수칙

팬티나 속옷은 항상 면팬티를 입고 꽉 끼는 거들이나 팬티 스타킹은 입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질분비물이 나쁠 때는 먹는 식초 3-4방울을 탄 물로 음부를 세척하는 것이 좋습니다.

뒷물을 할 때는 항상 앞에서 뒤로 해야 합니다.

냉이 많을 때는 팬티 라이너를 사용하지 말고 팬티를 자주 갈아 입는것이 좋습니다.

평상시 씻을 때는 샤워기로 겉만 씻어 주시고 질안에 손가락을 넣어서 씻지는 마세요.

비누는 순한 비누를 사용하되 외음부만 닦고 질안에는 비눗물이 들어가지 않게 하세요.

수영장이나 대중탕 사용은 외음부가 습해져서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질염의 종류

  • 01. 세균성 질증

    세균성 질증은 질내의 정상균이 세력을 잃고 전체의 1% 미만으로 존재하던 산소가 없어야 잘 자라는 혐기성 세균

    또는 그람음성 간균이 100배 이상 증식하여 생기는 질염으로 염증보다 증상이 현저하여 질증이라 부릅니다.

    증상 : 냉대하증과 함께 생선 비린내가 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치료 : 항생제를 투여하거나 세균의 증식을 막을 수 있도록 질 내부를 약산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치료합니다.

  • 02. 트리코모나스 질염

    기생충의 일종인 트리코모나스에 의해 발생되며 성관계를 통해 전파됩니다. 전파력이 매우 강하여 간혹 공중목욕탕이나

    위생시설이 좋지 않은 수영장에서 옮기도 합니다.

    트리코모나스는 편모를 갖고 있어 운동성이 좋기 때문에 요도를 타고 방광까지 침입하여 방광염을 유발하고 자궁내막을 타고

    골반염을 일으켜 아랫배를 아프게 하기도 합니다.후유증으로 불임, 골반염, 조산 등이 있고

    물 같은 냉이 흐르면서 생선 썩는 냄새가 나면 트리코모나스질염을 의심해야 합니다.

    증상 : 많은 양의 냄새가 고약한 황록색의 질 분비물과 함께 외음부가 가렵고, 배뇨통, 빈뇨, 성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치료 : 원칙적으로 성 파트너와 함께 치료를 해야 하며, 치료기간 중에 성관계를 금합니다.

  • 03. 칸디다성 질염(곰팡이성 질염)

    가장 흔한 형태의 질염으로 곰팡이의 일종인 칸디다가 주원인으로 임산부, 경구 피임약을 장기간 복용하는 사람,

    당뇨병환자처럼 면역기능이 감퇴된 상태나 항생제 부신피질호르몬을 장기 사용하는 경우에도 칸디다가 잘 자랄 수 있습니다.

    증상 : 치즈 같은 냉이 흐릅니다. 흰색의 걸쭉한 냉과 심한 가려움증이 동반합니다. 심한 경우 외음부 주위가 부어오르며 발갛고 진무르고 가려움을 참지 못하며 무의식적으로 긁어 상처가 생겨서 통증이 옵니다. 치료 : 항칸디다 질정을 질속에 넣고 진균 치료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치료후에 위생적으로 조심하지 않고 외음부가 습한 경우 또는 면역성이 떨어지는 경우 재발가능성이 큽니다.

  • 04. 위축성 질염

    폐경이후 여성에서 난소에서 분비되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결핍으로 인하여 질과 외음부가 위축됩니다.

    특히 질의 점막이 얇아지고 상처가 나기 쉬우며 오염이 되기도 쉽습니다.

    증상 : 누런색이나 붉은색 분비물이 증가하고 때로는 작은 양의 혈액이 섞이며 성교를 할 때 통증이 있고 소량의 출혈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치료 : 약물요법으로 국소 또는 경구용 에스트로겐을 사용합니다.